웃어요^^ 2021. 10. 20. 16:17

이 책은 ............. 60세 이상은 유아기나 청소년기와 마찬가지로 독특한 발달단계.

인생3막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고무시키고 노년을 계획하는 방식에 혁신적 메시지를 전한다.

 

뇌의 젊음을 되찾는 법

  1. 은퇴하지 마라, 계속해서 의미있는 일에 참여하라
  2. 앞을 보라, 되돌아보지 마라(회상은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3. 운동하라, 심장박동을 올려라, 자연속에서 하면 더 좋다.
  4. 건강한 습관으로 절제된 생활방식을 실천하라.
  5. 흥미롭고 신선한 사교관계를 유지하라.
  6. 자기보다 젊은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라.
  7. 의사에게 정기적으로 진찰을 받되 집착하지 마라.
  8. 스스로를 늙었다고 생각하지 마라(신중한 예방조치는 예외다)
  9. 패턴인지, 결정지능, 지혜, 축척한 지식 등 자신의 인지력을 높이 평가하라.
  10. 여행, 손주들과 시간 보내기, 새로운 활동과 상황에 몰두하기 등 학습을 통해 인지건강을 촉진하라. 새로운 일을 하라.

유아기와 노년기에 변화율이 가장 크다----행동변화

유전자나 상황, 치료가 성격을 바꾸는 경우 반드시 뇌가 변화해야 한다.

 

예) 테스토스테론 : 확신, 승부욕, 우월감, 호전성 등 수치가 올라가면 공격적 행동 초래, 수치가 내려가면 공손하게 행동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나이들수록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낮아진다.

세로토닌 : 성실성, 우호성, 정서적 안정성

도파민 : 개방성, 외향성

 

아이=기질, temperament

어른=성격, personality

 

[기억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일반화와 추상화 : 중요하지 않은 자세한 사항에 집중하지 않도록 인지경제성을 촉진.

기억체계/ 외현기억 - 일반지식 : 사실과 단어 정의 저장, 암묵기억, 알고있다는 사실을 의식하지 않은 채 알고있는 지식

                                          구구단, 수도, 자신생일 ...

                            일화지식 : 구체적인 일화와 관련된 기억, 암보, 타이핑, 조건반사, 첫키스, 특별한 생일파티 ...

 

해마 : 내측두엽, 외현기억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

        공간에서 길을 찾는 정보와 장소에 대한 기억 저장 기능

 

정신능력쇠퇴 유발인자 : 수초. 축삭돌기 주변을 감싸는 지방질, 절연장치

                                전기신호 불발, 뇌생각 전달이 느려짐 ---> 노인들의 굼뜬 행동, 지각정보와 기억, 의사결정, 운                                  동신경 전달을 포함한 정신체계 전반에 영향. 멀티태스킹에 취약, 주의산만, 익숙한 상황은 쉽                                  게 대처, 새로운 환경대처엔 어렵다.

 

'신경건강 증진을 위한 중요한 습관'

수초와 관련된 일, 수초구성성분의 80% 지방질, 식이지방, 생선, B12섭취, 오메가3-수초손상복구 기능 

 

'STREESS를 줄이려면?'

인지행동치료/ 명상, 운동, 음악감상, 자연에 몰두, 친구와의 대화, 사회적 지지

                    효율적으로 조절하려면 불확실성을 낮춰야 한다. 

*신항상성=예측시스템, 정서조절을 잘하면 노인의 신체적웰빙뿐만 아니라 정신능력까지도 보호할수 있다. 

 

'우울증 대처방법'

반추 rumination 우울한 기분은 오래간다.

주의분산 distraction 효과적

* 해마는 정서에 대단히 예민하다. 부정적인 기억에 손쉽게 접속한다.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활동에 몰두해서

  주의분산을 유도

* 명상 : 우리생각에서 '우리자신'을 제거하므로 집요한 반추를 치유할 수 있다

 

*동기 : 우리가 목표를 달성하도록 독려하는 조건, 생존, 재미추구, 쾌락, 고통감소 ...

*호기심 : 노화를 방지하는 역할, 노화방지요소인 교육을 받고자 하는 동기, 즐거운 일을 할때 그 보상으로 기분이 좋아지고 면역계가 강화되며 사이토카인과 T세포, 면역글로빈A가 증가한다.

 

'새로워지려는 노력'    

나이가 들면서 다양한 이유로 변화에 저항하려는 경향, 도파민 감소---> 새로움 추구성향 감소, 즉 우리몸의 화확적 변화로 인해 새로운 경험을 기대하거나 배우려는 동기가 줄어든다. 신체와 인지기능에 한계가 생기면서 새로은 것을 배우고 실행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해마용적 감소에 따른 기억저장의 어려움 ---> 옛날기억 인출이 쉬워 보수주의 경향을 띤다. 

 

도전에 직면했을 때 자신이 고착마음가짐으로 반응하지 않는지 경계하라. 지나치게 우려하거나 머릿속에서 도망가라는 경고의 목소리가 들려오지 않는가? 무능하다거나 패배했다고 느끼는가? 비판이 고착마음가짐을 끌어내지 않는지 주시하라. 변명거리를 찾는가 타인의 반응에서 배울 점을 찾아내는 대신 방어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화를 내거나 움츠러드는가?

당신이 가치있게 여기는 일을 당신보다 잘하는 사람을 봤을 때 어떤 기분이 드는지 주시하라. 부럽고 절박한 느낌이 드는가 아니면 배우고자 하는 의욕에 넘치는가. 그런 생각과 감정을 받아들이고 그것과 함께, 그것을 통해서 노력하라. 

사소한 골칫거리까지 걱정하기엔 인생은 너무 짧으므로 긍정성 편향은 심리적 웰빙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